2019년 티벳불교 얼마나 알고 있니? 보리도차제론 제1강
페이지 정보
작성자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,074회 작성일 20-01-21 13:01본문
2019년 11월 28일, 증심사 가을정기강좌인 티벳불교 얼마나 알고 있니? - 보리도차제론 첫번째 강의가 있었습니다. 이번 티벳불교 강좌는 티벳에만 있는 독특한 불교사상을 공부하는 게 아니라, 티벳에서는 불교를 어떤 체계로 교육하는가에 대해 초점을 맞추었습니다.
오늘 강의에서는 크게 두 가지 내용을 강의하였습니다. 첫 번째, 본격적인 수행 방법에 들어가기 전에 보리도차제론이라는 책에 가장 기본적인 내용인 무엇인가? 바로, 윤회라는 키워드로 해서 세 가지 단계로 나누어서 깨달음으로 가는 과정을 설명하는 것이 보리도차제라는 책입니다.
두 번째, 수행하기 전에 우리가 미리 마음가짐을 가지고 준비해야 할 것이 있습니다. 예를 들면 청소를 하고, 공양을 올리는 등 몇 가지 준비하는 것들이 있습니다. 이런 마음가짐을 가지고 준비하는 것 자체가 하나의 수행이고, 나의 수행을 개인의 수행이 아니라 모든 중생을 위한 수행으로 환원시키는 역할을 한다는 것입니다. 그다음에 수행을 하면서 항상 기본으로 가져야 할 것들을 배웠습니다. 깨달음으로 향할 때 혼자서 가는 게 아니라 디딤돌 일곱 가지가 필요합니다. 이 일곱 가지를 잘 행하게 되면, 수행이 디딤돌이 있으면 수월하게, 효과적으로 힘 있게 할 수 있습니다.
*보리도차제론 목차 1. “보리도차제”란 1-1) “보리도차제”의 유래 1-2) 위대한 스승 아티샤의 생애와 가르침의 전파 2. 올바른 수행 방법 2-1) 수행할 때의 행동 2-1-1) 수행 전에 해야 할 일 2-1-2) 수행의 기본 2-1-3) 깨달음으로 향하는 이의 일곱 가지 디딤돌 2-2) 스승을 찾는 방법 2-2-1) 어떤 스승을 찾아야 하는가 2-2-2) 스승에게 어떻게 배워야 하는가 2-2-2-1) 스승을 부처님과 똑같이 생각하라 2-2-2-2) 스승의 은혜를 생각하여 항상 존경하라 2-3) 쉴 때도 항상 마음을 살펴야 한다. 3. 올바른 수행 방법을 찾은 후 마음을 변화시키는 방법 3-1) 인간으로 태어나기 힘듦을 알아야 한다. 3-2) 귀한 인간의 몸은 내생에 다시 얻기 힘듦을 알아야 한다. 3-2-1) 인간의 몸은 내생에 다시 얻기 힘듦을 알아야 한다. 3-2-2) 다음 생에 인간의 몸을 받기 위해 해야 할 일 3-2-3) 부처님의 가르침을 만나기 힘듦을 알아야 한다. 3-2-4) 찰나의 순간도 헛되어 보내서는 안된다. 3-3) 삼사도에 따른 수행의 길 3-3-1) 하사도 3-3-1-1) 다음 생을 위해 해야 할 일을 찾는 것 3-3-1-1-1) 죽음을 생각하지 않아서 생기는 결점 3-3-1-1-2) 죽음을 생각하면 생기는 이득 3-3-1-1-3) 죽음을 바르게 생각하는 방법 – 죽음에 대한 아홉 가지 명상 3-3-1-1-4) 삼악도의 고통과 삼선취의 고통 3-3-1-1-4-1) 죽음의 순간에 대한 명상 3-3-1-1-4-2) 삼악도와 삼선취의 고통 3-3-1-2) 올바른 수행의 길을 찾는 방법 3-3-1-2-1) 삼보에 의지해 수행하라 3-3-1-2-2) 인과를 믿는 데서 수행은 시작된다. 3-3-1-2-2-1) 인과란 무엇인가 3-3-1-2-2-2) 악업과 선업에 대한 설명 3-3-1-2-2-3) 인과를 알고 나서 취할 태도 3-3-2) 중사도 3-3-2-1) 깨달음에 이르는 길을 배워야 되겠다는 생각 3-3-2-1-1) 윤회의 고통에 대한 명상 3-3-2-1-1-1) ‘나’에 집착하는 허물 3-3-2-1-1-2) 만족하지 못하므로 생기는 허물 3-3-2-1-1-3) 몸이 자주 바뀌는 허물 3-3-2-1-1-4) 자주 태어나는 허물 3-3-2-1-1-5) 지위가 자주 바뀌는 허물 3-3-2-1-1-6) 친구가 없는 허물 3-3-2-1-2) 삼선취의 고통 3-3-2-1-2-1) 아수라의 고통 3-3-2-1-2-2) 인간의 고통 3-3-2-1-2-3) 천상의 고통 3-3-2-2) 깨달음의 길 3-3-2-2-1) 집착으로 인한 윤회 3-3-2-2-1-1) 번뇌의 종류 3-3-2-2-1-2) 번뇌는 어떻게 생기는가? 3-3-2-2-2) 윤회에서 벗어나려면 3-3-3) 상사도 3-3-3-1) 대승에 들어가기 위한 발심과 그 이득 3-3-3-2) 발보리심의 길 3-3-3-2-1) 발보리심을 위한 일곱 가지 방법 3-3-3-2-2) 나와 남을 바꾸어 생각할 줄 알아야 한다. 3-3-3-2-3) 어떻게 발보리심 할 것인가 3-3-3-3) 발보리심 후에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3-3-3-3-1) 보시 3-3-3-3-2) 지계 3-3-3-3-3) 인욕 3-3-3-3-4) 정진 3-3-3-3-5) 선정 3-3-3-3-6) 지혜
- 이전글2019년 티벳불교 얼마나 알고 있니? 보리도차제론 제2강 20.01.28
- 다음글2019년 증심사 성보로 본 불교문화 - 제4강 무등산 증심사, 그리고 광주불교 19.12.04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